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TextField
- text to speech
- Android Studio
- 예외처리
- BAEKJOON
- Android
- Xcode
- 링크드리스트
- xocde
- 안드로이드스튜디오
- deeplink
- C언어
- FLUTTER
- 백준
- swift baekjoon
- android java
- label
- Swift
- 플러터
- 연결리스트
- 버블정렬
- 커스텀팝업
- customPopup
- storyboard
- 안드로이드
- IOS
- 보호와 보안
- Firebase
- 준코딩
- 자바
- Today
- Total
목록CS (15)
준코딩
개발하면서 항상 사용하지만, 누가 설명해 보라고 하면 설명 못하겠어서 작성합니다. 서로 통신하면서 데이터 주고받는거잖아~ 라고 설명할 순 없으니.... HTTP 통신은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입니다. 말 그대로 Hyper Text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.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Request(요청) 하면 서버에서는 Request 에 맞는 응답결과를 Response(응답) 합니다. 클라이언트는 Response 값을 사용자에게 보여줍니다. 이렇게 3줄이 간단하게 HTTP 통신 과정입니다. 고작 이렇게만 공부하려고 글을 쓴 건 아니니... 클라이언트가 요청 할때나, 서버에서 응답할 때 정보들을 Packet(패킷)이라는 작은 조각에 담겨 보내집니다. 이 Packet은 헤더와 바디..

파일 시스템 -사용자가 운영체제에서 가장 관찰하기 쉬운 부분이다. -파일의 이름을 정하고 저장, 검색을 위해서 논리적으로 어디에 위치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구성한 시스템. 파일의 개념 -컴퓨터는 정보를 자기 디스크, 자기테이프, 광디스크 같은 다양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. -저장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비휘발성이다. 파일 속성 -이름, 식별자, 유형, 위치, 크기, 보호, 시간, 날짜, 사용자 식별 -모든 파일에 대한 정보는 보조 저장장치에 상주하는 디렉터리 구조 내에 유지된다. 파일 연산 -파일이란 추상적인 데이터 유형이다. 파일을 적절히 정의하기 위해 파일에 대해 실행할 수 있는 연산들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. -파일 생성, 파일 쓰기, 파일 읽기, 파일 내에서 위치 재설정, 파일 삭제, 파일..

보안(security)이란? -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자료들이 결함 없이 보전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일종의 신뢰도이다. 보안 문제 -기밀성 침해 : 인증받지 않고 자료 읽음 -무결성 침해 : 인증 받지 않고 자료 수정 -가용성 침해 : 인증 받지 않고 자료 파괴 -서비스 가로채기 : 인증 받지 않고 자료 사용 -서비스 거부 : 적법한 사용을 막음 시스템 보호하기 위한 보안 대책 물리적 수준 : 컴퓨터 시스템을 수용하는 장소는 침입자에 대한 물리적 보호가 되어야 한다. 인적 수준 : 적절한 사용자만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을 보장 운영체제 : 시스템은 우연한 또는 고의의 보안 침해로부터 자신을 보호해야 한다. 네트워크 : 컴퓨터 데이터가 개인 임대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인터넷 같은 공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한다...
메모리? :메모리는 기억장치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. 원하는 작업을 컴퓨터에서 처리하기 위해서는, 처리대상의 내용이나 처리결과를 잠시 기억하고 있어야 할 필요성이 생기는데, 이때 메모리가 사용된다. CPU에 의해 제어된 장치로 즉시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됨 ->일반적으로 컴퓨터에서 메모리라고 하면 메인메모리(주기억장치)를 가리킵니다. 주기억장치의 종류 -캐쉬메모리, RAM, ROM, 등등 기본 하드웨어 -주 메모리와 처리기에 내장되어 있는 레지스터들은 CPU가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저장장치 이다. 모든 실행되는 명령어와 데이터들을 CPU가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주 메모리와 레지스터에 있어야 한다. 만약 데이터가 메모리에 없다면 CPU가 데이터를 처리하기 전에 메모리로 이동시켜야 한다..
보안(security)이란? -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자료들이 결함 없이 보전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일종의 신뢰도이며, 보안의 보장은 보호의 개념보다 광범위한 주제로 생각할 수 있다. 보안 문제 -기밀성 침해 : 인증 받지 않고 자료 읽음 -무결성 침해 : 인증 받지 않고 자료 수정 -가용성 침해 : 인증 받지 않고 자료 파괴 -서비스 가로채기 : 인증 받지 않고 자료 사용 -서비스 거부 : 적법한 사용을 막음 시스템 보호하기 위한 보안 대책 물리적 수준 : 컴퓨터 시스템을 수용하는 장소는 침입자에 대한 물리적 보호가 되어야 한다. 인적 수준 : 적절한 사용자만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을 보장 운영체제 : 시스템은 우연한 또는 고의의 보안 침해로부터 자신을 보호해야 한다. 네트워크 : 컴퓨터 데이터가 개인 임대..
운영체제 서비스사용자 인터페이스(User Interface): 거의 모든 운영체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.프로그램 실행: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해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. 정상적이든 비정상적이든 실행을 끝낼 수 있어야 한다.입출력 연산: 실행 중인 프로그램은 입출력을 요구할 수 있다.파일 시스템 조작: 파일 생성, 삭제할 수 있으며, 지정된 파일을 찾을 수 있어야 하고 파일의 정보를 열거할 수 있어야 한다.통신: 한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와 정보를 교환이 가능해야 한다.오류 탐지: 모든 가능한 오류를 항상 의식하고 있어야 한다. 운영체제는 올바르고 일관성 있는 계산을 보장하기 위해 각 유형의 오류에 대해 적당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.자원 할당: 다수의 사용자나 다수의 작업들이 동시에 실행될 때 ..
운영체제의 구조-운영체제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환경을 제공한다.-운영체제의 가장 중요한 측면은 다중 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능력이다. 단일 사용자는 CPU또는 입출력장치를 하상 바쁘게 유지할 수 없다. 다중 프로그래밍 은 CPU가 항상 하나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작업을 조정함으로써 CPU의 이용률을 높인다. -시분할 시스템은 대화식 혹은 실제 조작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데 사용자와 시스템 간에 직접적인 통신을 제공한다. (키보드,마우스) 응답시간이 짧아야 하며, 통상 1초 이내이다. 운영체제 연산-운영체제는 인터럽트 구동식이다.(인트럽트 구동식: 시간이 오래 걸리는 I/O 작업 때문에 CPU가 노는걸 방지하고자 I/O작업과 CPU작업을 분리시켰다. CPU는 I/O가 끝났다는 신호를 보내기 ..
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.-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며 컴퓨터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한다. 운영체제가 할 일 -컴퓨터 시스템은 대개 네 가지 구성요소인 하드웨어, 운영체제, 응용 프로그램 및 사용자로 구분한다.하드웨어: 중앙처리장치(CPU), 메모리 및 입출력(I/O) 장치로 구성되어 기본 계산용 자원을 제공한다. 응용 프로그램: 워드프로세서, 시프레드시트, 컴파일러, 그리고 웹 브라우저 등은 사용자의 계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들 자원이 어떻게 사용될지 정의한다. 운영체제의 정의: 운영체제에 대한 완벽한 정의는 없다. 운영체제가 존재하는 이유는 운영체제가 컴퓨터 시스템을 유용하게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합리적인 방법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