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예외처리
- C언어
- xocde
- 자바
- storyboard
- 연결리스트
- 보호와 보안
- Android
- 버블정렬
- 링크드리스트
- android java
- 안드로이드스튜디오
- label
- 안드로이드
- customPopup
- 커스텀팝업
- FLUTTER
- Android Studio
- deeplink
- IOS
- text to speech
- BAEKJOON
- TextField
- swift baekjoon
- Swift
- 준코딩
- Xcode
- Firebase
- 백준
- 플러터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142)
준코딩

딥 링크는 특정 페이지에 도달할 수 있는 링크를 말합니다. (기존에 알고있던 url 들도 그럼 전부다 딥링크 아닌가??) -> 웹 대다수 링크는 사실상 딥링크이며 단지 그렇게 부르고 있지 않을 뿐입니다.라고 한다. 결론은 그냥 특정 페이지에 도달 할 수 있는 링크들을 딥 링크라고 부르는 거 같다. 내가 궁금한건 모바일 Android에서의 딥 링크이다. Android doc 에서 "딥 링크는 앱 내에 특정 대상으로 직접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링크입니다."라고 설명하고 있다. 구글 창에 검색해보면 딥링크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. 앱링크, 다이나믹 링크, 유니버설 링크, 원링크 등등..... 여러 가지가 있지만 난 지금 안드로이드 개발 공부를 하는 거니깐 안드로이드 관련 딥링크에서만 일단 공부해보자. ios..
해시? : 특정한 값을 찾고자 할 때는 그 값의 키(Key)로 접근 가능. 일반적으로 해시 함수는 연산으로 이루어져 있다. 1) 데이터를 최대한 빠른 속도로 관리하도록 도와주는 자료 구조. 2) 메모리 공간이 많이 소모되지만 매우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. 3) 빠르게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데이터베이스 등의 소프트웨어에서 활용됩니다. 해시함수의 동작 과정 데이터 키 값 101 / A 해시 함수 1 A 203 / B (n mod 100) -> 100으로 나눈 나머지값 2 C 202 / C 3 B 304 / D 4 D 해시 충돌 해시 함수 키 값 101 / A (n mod 100) 1 A 201 / B 1 (충돌 발생) B 해시 충돌을 처리하는 방법 선형 조사법 해시 함수 키 값..

파일 시스템 -사용자가 운영체제에서 가장 관찰하기 쉬운 부분이다. -파일의 이름을 정하고 저장, 검색을 위해서 논리적으로 어디에 위치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구성한 시스템. 파일의 개념 -컴퓨터는 정보를 자기 디스크, 자기테이프, 광디스크 같은 다양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. -저장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비휘발성이다. 파일 속성 -이름, 식별자, 유형, 위치, 크기, 보호, 시간, 날짜, 사용자 식별 -모든 파일에 대한 정보는 보조 저장장치에 상주하는 디렉터리 구조 내에 유지된다. 파일 연산 -파일이란 추상적인 데이터 유형이다. 파일을 적절히 정의하기 위해 파일에 대해 실행할 수 있는 연산들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. -파일 생성, 파일 쓰기, 파일 읽기, 파일 내에서 위치 재설정, 파일 삭제, 파일..

보안(security)이란? -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자료들이 결함 없이 보전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일종의 신뢰도이다. 보안 문제 -기밀성 침해 : 인증받지 않고 자료 읽음 -무결성 침해 : 인증 받지 않고 자료 수정 -가용성 침해 : 인증 받지 않고 자료 파괴 -서비스 가로채기 : 인증 받지 않고 자료 사용 -서비스 거부 : 적법한 사용을 막음 시스템 보호하기 위한 보안 대책 물리적 수준 : 컴퓨터 시스템을 수용하는 장소는 침입자에 대한 물리적 보호가 되어야 한다. 인적 수준 : 적절한 사용자만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을 보장 운영체제 : 시스템은 우연한 또는 고의의 보안 침해로부터 자신을 보호해야 한다. 네트워크 : 컴퓨터 데이터가 개인 임대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인터넷 같은 공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한다...

데이터 영역 -프로그램의 시작과 동시에 할당되고, 프로그램이 종료되어야 소멸 (전역변수) 힙 영역 -동적 할당을 통해 생성된 동적 변수를 관리하기 위한 영역 -사용자가 직접 관리 해야만 하는 영역(컴파일 시기에 크기 알 수 없음) 스택 영역 -함수 내에 정의된 지역 변수가 저장되는 영역 (컴파일 하는 동안 결정) Stack vs Heap 장단점 스택 -매우 빠른 액세스 -변수를 명시 적으로 할당 해제 할 필요가 없습니다. -공간은 CPU에 의해 효율적으로 관리되고 메모리는 단편화되지 않습니다. -지역 변수 만 -스택 크기 제한 (OS에 따라 다름) -변수의 크기를 조정할 수 없습니다. 힙 -변수는 전역 적으로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. -메모리 크기 제한 없음 -(상대적으로) 느린 액세스 -효율적인 공간 ..
메모리? :메모리는 기억장치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. 원하는 작업을 컴퓨터에서 처리하기 위해서는, 처리대상의 내용이나 처리결과를 잠시 기억하고 있어야 할 필요성이 생기는데, 이때 메모리가 사용된다. CPU에 의해 제어된 장치로 즉시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됨 ->일반적으로 컴퓨터에서 메모리라고 하면 메인메모리(주기억장치)를 가리킵니다. 주기억장치의 종류 -캐쉬메모리, RAM, ROM, 등등 기본 하드웨어 -주 메모리와 처리기에 내장되어 있는 레지스터들은 CPU가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저장장치 이다. 모든 실행되는 명령어와 데이터들을 CPU가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주 메모리와 레지스터에 있어야 한다. 만약 데이터가 메모리에 없다면 CPU가 데이터를 처리하기 전에 메모리로 이동시켜야 한다..
보안(security)이란? -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자료들이 결함 없이 보전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일종의 신뢰도이며, 보안의 보장은 보호의 개념보다 광범위한 주제로 생각할 수 있다. 보안 문제 -기밀성 침해 : 인증 받지 않고 자료 읽음 -무결성 침해 : 인증 받지 않고 자료 수정 -가용성 침해 : 인증 받지 않고 자료 파괴 -서비스 가로채기 : 인증 받지 않고 자료 사용 -서비스 거부 : 적법한 사용을 막음 시스템 보호하기 위한 보안 대책 물리적 수준 : 컴퓨터 시스템을 수용하는 장소는 침입자에 대한 물리적 보호가 되어야 한다. 인적 수준 : 적절한 사용자만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을 보장 운영체제 : 시스템은 우연한 또는 고의의 보안 침해로부터 자신을 보호해야 한다. 네트워크 : 컴퓨터 데이터가 개인 임대..